(과제)(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론



《과제주제》
1. 공동모금의 필요성을 서술하시오. 
2. 공동모금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방안을 서술할 때에는 자신의 생각을 반드시 포함하여 제시하여야 합니다.) 



  1. 서론

  지역사회복지론 수업의 과제를 통해 공동모금에 관한 필요성이 무엇일까. 또한, 그 공동모금을 어떠한 방법으로 활성화를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본다.


  1. 본론


  1. 지역사회복지론에서의 ‘공동모금’란?

 수업과 교안으로 배운 것은 민간자원을 동원하여 지역사회 복지에 기여 한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정부 지원이나 재정에 의존적인 부분을 균형 있게 잡아줄 수 있는 역할도 하고 있다. 법적인 부분에서 공동모금은 어떤 식으로 정의되어있을까.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을 살펴본다. 「사회 복지 사업이나 그 밖의 사회복지 활동 지원에 필요한 재원을 조성하기 위하여 이 법에 따라 기부금품을 모집하는 것」이라고 정의되어있다. 정리하자면 공동모금은 정부 조성금이나 지원정책이 아닌 민간 부분에서의 사회복지 활동에 필요한 모금 활동으로 인한 자율적인 성금으로 조성된 재정적 지원금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와 전 세계 어느 곳에서도 공동모금의 활동은 사회복지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사업 활동 전반에 걸쳐 폭넓게 분포되어있다. 그렇다면 공동모금이 왜 필요할까. 


  1. 지역사회복지론에서 ‘공동모금’이 지닌 필요성에는 무엇이 있을까.

  공동 모금의 필요성은 아주 구체적으로는 노인과 장애인 등을 대한으로 하는 식사, 세욕 서비스, 지역주민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 행사나 강좌 개최 사업 등을 지원하게 된다는 데에서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즉 지역 사회복지 측면에서 추진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사업이 대상이 되고 있으며, 지역 복지 단체의 육성이라는 측면에서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공동 모금의 필요성을 정리해보자.

 첫 번째로 재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마 공동모금의 가장 중요한 필요성이라고 생각한다. 재원 확보를 통하여 모든 것을 시작할 수 있는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지역사회 안의 공동체 의식을 증진 시킬 수 있다. 정부에게서 나오는 지원으로 하는 활동이 아니라 지역 내의 주민들과 기업들이 직접 참여하여 지역사회 복지에 스스로부터 참여한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싶다. 이는 지역사회 이슈들을 직접 해결했다는 뿌듯함과 연대 의식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한다. 내 주변의 이웃들을 돌아보는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세 번째는 앞서 언급한 정부의 지원에 대한 의지, 의존도를 낮추고 균형을 잡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정부와 민간참여 부분이 하나를 이루어 서로 상호 보완하면서 균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공동모금’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 ‘공동모금’의 활성화 방안에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


  1. 활성화 방안 1 - 연말연시를 활용한 모금 전략 

 연말연시의 모금 계획은 대대적인 프로젝트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기부가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포인트다. 인터넷이 SNS를 활용하고 그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인물 또는 기업이 동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불우 이웃을 돕는 활동 시기가 집중되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가장 큰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1. 활성화 방안 2 - 시대를 어우르는 모금 전략

 요즘 청년과 어르신들의 갭을 줄이 기 위한 캠페인 등이 많이 개최되고 있다. 어르신과 함께 하는 연극 공연이라던지 서로 대화하는 프로그램도 지역사회에게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게 됐다. 이 부분을 활용한 모금 전략을 생각해 보았다. 해당 지역사회의 어르신과 함께 하는 다양한 재능기부 프로그램과 함께 모금을 함께하여 다른 이웃을 돕거나 지역환경을 개선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면 이보다 더 좋을 수 없을 것이다.

  1. 활성화 방안 3 - 크라우드 펀딩 모금 전략

 이미 세계적으로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는 크라우드 펀딩 전략을 들 수 있다. 국내에도 이미 많은 프로젝트에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개인적으로도 이 전략이 지금 시대와 발맞추어 적용할 수 있는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이 크라우드 펀딩을 설명하자면 사회 공익활동이나 문화 창작 활동을 하는 사람들을 후원하는 것이다. 이 후원자들의 모금이 모여서 특정 프로젝트를 운영하거나 목적에 맞게 쓰인다. 대부분의 기부가 그러하듯이 비슷한 기부문화처럼 보이지만 차이가 있다. 그것은 바로 ‘보상’이 있다는 것이다. 후원자 명단에 직접적으로 참여했다는 이름이 기록되거나 특정 문화행사에 대해 기부를 했다면 그 문화행사 초대권을 받을 수 있다는 ‘보상’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그에 대한 보상이 있다. 그리고 꼭 금전적으로 하는 모금 활동으로 국한되지 않고 체감온도를 잘 느끼지 못하는 기부 운동에 대해서도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20년 11월에 서울시에서 ‘2020 서울 노인영화제(Seoul International Senior Film Festival)’가 개최되었다. 노인과 청년들의 이야기를 담은 이 영화제는 전문 기금 모집 사이트(텀블벅)에서 기금 모집을 받았습니다. 받은 모금금액은 영화제의 열성 팬용 상품(굿즈) 제작에 활용이 되고 영화제에 운영을 위한 비용이 사용되었다. 또한 기부(기금 모집)에 대한 피드백, 보상으로 해당 영화제의 초대권이나 마그넷, 영화 노트, 엽서 등을 활용하였다. 이 밖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사회 나아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환경조성을 위한 기금 모집도 이루어지고 있다. 나는 이 방법으로 지역사회복지의 모금을 이끌어가는 것도 하나의 공동모금의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한다.


  1. 결론

 이번 과제를 통해 지역사회복지에 있어서 요구되는 개념인 ‘공동모금’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공동의 가치’를 알게 하고 ‘기부와 후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그에 알맞은 혜택을 부여하는 것이 ‘공동모금’에 대한 활성을 이끌어간다고 생각한다. 기존의 기부문화 피드백에서는 세제 혜택을 받는 것으로만 생각하는 사람 또는 기업들이 많았다. 하지만 기존의 방식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기부문화를 받아들이면서 기부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참여도를 높여 스스로 참여하는 결과를 가지고 온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지역사회의 형태가 생기고 사회복지 분야 자체도 다양해진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모금 활동 방식과 어우러진 다른 발전적인 형태의 모금 활동이 이루어져야 하고 스스로 참여할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1. 참고문헌

    1. 지역사회복지론 교안

      1. (13주차 2차시)건강가정지원센터 -150page

    2. 법률・사전(지식백과)

      1. 법률검색사이트

        1. 검색단어: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 [법률 제16246호, 2019. 1. 15., 일부개정]

      2. wikipedia

        1. 검색단어: 크라우드펀딩

        2. https://ko.wikipedia.org/wiki/%ED%81%AC%EB%9D%BC%EC%9A%B0%EB%93%9C%ED%8E%80%EB%94%A9 

    3. 인터넷 참고 사이트 

      1.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 노인과 청년의 이야기를 담은 2020 서울노인영화제

        1. 매체이름: tumblbug

        2. 주소: https://tumblbug.com/2020sisff?ref=discover 

      2. 서울노인영화제 공식 홈페이지

        1. 주소: http://sisff.seoulnoin.or.kr/?ckattempt=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