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사회복지)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론
서론
사회복지조사론 수업의 과제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으며, 어떠한 사례가 있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사회 복지의 지식을 창출하기 위한 3가지 조사 방법을 사례를 통하여 정리해 본다. 어떠한 지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먼저 지식을 습득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본론
‘어떠한 지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지식을 습득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수업에서 배운 것은 사회복지사가 지녀야 할 지식이 요구된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전문가가 되기 위한 지식을 적절히 갖추어 나가기 위해서 올바른 지식의 습득 방법이 필수적이다. 많은 관심으로 시작되어도 적절한 지식을 습득하지 않으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게 된다. 정리하면 ‘사회복지전문가로서의 필요한 정보들’을 ‘바른 행태의 방법’으로 산출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바른 형태의 지식 습득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과학적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교안의 ‘과학에 대한 이해’ 챕터에서 본다면, 과학이라는 부분이 어떠한 현상에서 지식을 습득하고 탐구하는 학문(방법)으로 정의되어있다. 과학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도우며,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고, 미래 지식을 예측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현상에서 개념을 설립하고 그에 따른 가설을 세워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검증해서 객관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세운 가설의 정당성과 정확성을 확보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전통이나 관례로 비과학적인 방법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런 접근방법은 개인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직관적인 지식으로 도출되어 왜곡된 사상이나 가치관에 성립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런 비과학적 방법이 아닌 “과학적인 방법”으로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사회복지에서의 ‘지식을 창출하기 위한 3가지 조사방법’과 그에 알맞는 사례를 알아보자.
수업 시간에서 배웠듯이 지식을 창출하기 위한 3가지의 방법으로는 탐색 연구(Exploration Study), 기술연구(Description Study), 설명연구(Explanation Study)를 들 수 있다. 실제적으로는 하나하나의 조사가 복합적으로 된 상황이 더 많다. 현실에서는 여러 목적을 가진 것이 많지만 이번 과제는 목적에 맞게 개별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각각의 연구 들을 정의해보고 그에 맞는 사례를 찾아본다.
탐색연구(Exploration Study)
기존의 이론이 없거나 현저하게 정보가 없을 때 이루어지는 연구, 조사 방법
이 연구, 조사 방법은 간단히 말해 정보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연구 과제 자체가 잘 알려지지 않아 선행 연구 자료가 없는 거나 부족할 수가 있고, 연구의 대상이 적어 시행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 조사는 본격적으로 조사에 임하기에 앞서 시행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때에 따라서는 방법을 개발하거나 개선해야 할 수도 있다. 이는 상당히 제한적인 연구가 많아 가설 설립에 있어 중요한 포인트를 구성할 수 있지만, 그만큼 제한적 사례이기에 결과를 일반화할 수는 없다고 본다.
사례
일본의 후생노동성의 탐색적 연구를 참고해 본다. 다양한 연구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이중 개호복지를 읽어보았다. 고령화사회로 전환되면서 개호복지에 대한 간호사들로부터의 수요 조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나의 예를 가지고 와본다. 신체적 장애를 가진 고령자의 개호나 간호의 방법은 선례와 지금도 실행되고 있는 일련의 규칙들이 있어 어렵지 않게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반하여 알츠하이머병이라 불리는 노인성 치매나 중풍 등으로 인해 생기는 혈관성 치매 등 이런 치매 증상으로부터의 간호의 방법이 어렵다는 것이다. 신체적 결함이나 장애, 기능에 문제가 없으나 ‘배회・방황’이나 기타 돌발 행동에 대한 정해진 룰이나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기존의 고령자 개호복지와는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이야기하고 있었다. 여기서 연구, 조사 방법으로 탐색 연구를 실행하여 진행하고 있었다. 힘들어서 누워있거나 신체적 장애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그에 맞는 방법을 찾아 간호하면 되지만, 치매로 인한 개호와 간호의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새로운 문제로 이야기되고 있어서 이를 위한 선행연구 또한 적다. 따라서 탐색 연구를 통하여 후생노동성에서는 지금도 조사와 연구를 하고 있다. 어떤 질문 항목을 설정하는 것이 올바른가에 대해서도 확실하지 않으므로 간호사와 환자를 모니터링하거나 환자와 환자 가족들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문제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여 결론을 도출할 때까지 가설과 심층 인터뷰를 통한 연구를 하는 것이다.
기술연구(Description Study)
어떠한 특정 현상이나 상황을 기술하기 위한 연구, 조사 방법
이 연구, 조사 방법은 무엇이 문제(질문)이고, 특정 현상과 상황을 정확하게 설명하는 것이 과제이다. 특정한 현상이나 닥친 상황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연구, 조사로 이에 해당하는 ‘목적’을 설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해당 목적으로 하는 조사에서는 조사할 항목을 미리 명확하게 정의된 질문으로 진행해야 하면 그 질문 또한 신뢰를 바탕으로 타당성 있는 질문이어야 한다. 양질의 질문이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연구, 조사 방법으로 얻은 결과는 통계적으로 표현이 가능하고 결과에 대한 일반화를 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이어야 한다. 이 부분 앞서 언급한 ‘탐색 연구’에 없는 부분으로 ‘설명 연구’의 특징이 될 수 있다. 특정한 결과 지표의 개발과 표본이 될 수 있는 자료인 것이다. 따라서 질문에 대한 중요성을 재차 강조할 수 이따. 객관적인 질문으로 이루어지고 통계나 결론을 낼 시에는 선택하는 능력과 검정 능력이 요구된다.
사례
기술연구에 대한 사례는 여러 가지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노령화 간호사들의 요구에 의한 조사에서 “전체의 노인인구 안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사람의 비율을 어느 정도인가.”, 더 깊이 있게는 “연령대나 성별의 분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같은 문제의 현상이나 상황을 세세하게 조사하는 것으로 말 할 수 있다.
실례를 찾아보았다. 미국의 사회복지사협회인 NASW에서는 매년(또는 분기) 사회복지에 종사하고 있는 인력과 그에 맞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연구하고 있다. 내가 알아본 부분은 미국의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한 복지사 10,000명 정도를 무작위로 설문조사를 하여 “현장에 적절하게 훈련된 사회 복지 인력이 배치되어, 노인의 현재와 미래의 요구를 충족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기존의 데이터와 함께 앞으로의 노령화의 정책 및 계획 수립에 앞서 설문지를 통한 데이터 연구를 하는 것이다. 이 조사의 질문 항목들은 “사회 복지사가 수행하는 활동 및 업무”, “타당성 평가를 포함한 초기 및 지속적인 교육 및 훈련”, “직업과 업무에 대한 사회 복지사의 태도”, “사회 복지사 고용 시장에 대한 인식” 등 포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설명연구(Explanation Study)
어떠한 특정 현상이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연구, 조사 방법
위 연구, 조사 방법과 가장 큰 차이를 보자면, 위 연구는 특정한 상황이나 현상을 기술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지난 5년간 청소년 범죄율이 높게 증가 하였나?”라는 문제를 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연구 조사는 특정한 상황이나 현상을 하나 이상의 변수를 통해 인과관계가 있거나 없는 것을 특정 짓는다. 예를 들어 “지난 5년간의 청소년 범죄율이 높게 증가하는 것이 스마트 폰과 연관성이 있는가?”를 문제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인과 관계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고 또 나아가 법규에 관한 탐구를 지향한다. 이 연구는 인과관계의 가설을 설정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결과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질의 항목들을 적절히 배치해야 한다.
정리하자면, 설명 연구 조사 목적의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발생 가능한 현상이나 상황을 결과로 간주하여 각 결과, 모두를 측정하는 조사 항목도 정밀하게 배치해야 한다.
사례
이 설명 연구에 대한 사례는 다양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동학대가 발생하는 확률이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복지 서비스의 형태나 혜택이 도시별로 차이가 나는 것은 무엇인가.” 같은 문제의 현상이나 상황에 대한 발생의 원인을 찾는 것이 이 연구의 쟁점이다. 이 연구에 대한 실례를 찾아본다.
나가오카대학교(長岡大学教授) 의 무라야마 미치히로(村山光博) 교수의 연구에서 실례를 찾았다. 18세 미만의 아동이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를 악용한 범죄에 가담하거나 피해자가 된다는 가설로 시작되는 연구이다. ‘네트워크 이용 범죄 내용의 추이’를 펼쳐 보이면서 피해자나 가해자가 되는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부모 스스로 아이를 피해로부터 지킨다고 하는 의미에서는 인터넷 접속이나 앱의 기능 등을 찾아 공부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정보통신의 기초지식에 대해 이해를 넓히고, 더불어 자녀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라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결론
이번 과제를 통해 사회복지조사론의 필요한 요소인 조사, 지식, 탐구 등 다양한 요소들을 생각해 보았다.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사회복지조사론이 사회복지에 필요한 지식을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구조의 흐름에 발맞추어 사회복지서비스도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사람의 생활환경과 수준의 욕구들이 발생하는 것을 유연하게 받아들이고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번 과제를 통한 연구, 조사 방법을 실천하여 다변화 시대의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능력에 기반이 되는 연구들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본인 또한 실행되고 연구된 결과에 대한 지식 습득을 학습하여 좀 더 발전되어가는 사회복지사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사회복지조사론 교안
2주차 1차시 - 과학에 대한 이해 -15page
10주차 1차시 - 자료수집(1) -84page
인터넷 참고자료
제 8회, 개호 보험 사업 계획 작성을위한 각종 조사 등에 관한 설명회(참고자료 들)
매체・조직 이름: 후생노동성
작성일: 2020년 2월 7일
주소: https://www.mhlw.go.jp/stf/shingi2/0000138653_00002.html
개호 예방 · 일상 생활 권역 요구 조사 분석 지원
매체・조직 이름: Japan Gerontological Evaluation Study
작성일: 2017년 12월 25일
미국 전역의 사회 복지 인력 연구
매체・조직 이름: The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NASW)
작성일: 2004년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지는 조사
주소 2: https://www.socialworkers.org/News/Research-Data/Workforce
아동이 피해자가되는 네트워크 이용 범죄의 증가와 대책
매체・조직 이름: 나가오카 대학 - 무라야마 미츠히로
작성일: 불문.
주소 : https://www.nagaokauniv.ac.jp/wp2014/wp-content/uploads/2014/12/cnenpo24-r-murayama.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