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한국어교원2급)(PDF)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Question 1st) 로만 야콥슨의 이론을 바탕으로 언어의 기능을 여섯 가지로 정리하여 설명하시오.  ‌‌



(클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개론 과제 원본


(Answer)



서론

 시작하기에 앞서 ‘로만 야콥슨(Роман Осипович Якобсон, Roman Osipovich Jakobson, 1896-1982)의

이론’은 무엇일까. 먼저, 수업 교안에서는 ‘로만 야콥슨의 이론’을 알아보기로 한다.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요소로 ‘발신자, 수신자, 메시지의 화제, 사용된 코드’라는 네 개의 항목을 토대로 사회 현상으로서의

언어가 갖는 기능을 그림으로 나타냈다”라고 말하고 있다. 간단하게 줄이면 언어 즉, 6요소를 통해

의사소통의 6가지 기능을 정의했고, 그에 따라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방법을 설명할 수 있게 하였다고

할 수 있다.  6가지의 요소와 기능을 좀 더 자세히 이야기해 보자.


본론

 로만 야콥슨은 1956년의 강연에서 커뮤니케이션의 6가지 기능 도식을 발표하였다. 이 강연에서 정의된

의사소통의 기능과 요소에는 “필수 불가결한 6개의 인자들 즉, “발신자, 수신자, 메시지, 상황(전후 관계),

코드, 접촉”을 들어 각자의 요소에 다른 언어 기능이 대응하고 있음을 도식화하여 표현한 것이다.

도식과 함께 6가지의 각각 요소와 기능을 자세히 살펴본다.


  1. 의사소통을 위한 6가지 요소와 기능

 

  1. 6가지 요소

    1. 발신자, 송신자(ADDRESSER, 発信者) - 간단히 말해서 ‘말하는 사람’, 즉 ‘화자’...

    2. 수신자(ADDRESSEE, 受信者) - 이 요소는 ‘듣는 사람’을 칭한다. 

    3. 메시지(MESSAGE) - 이 요소는 언어나 기호에 의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뜻한다.

    4. 대상,맥락(CONTEXT) - 전후 관계를 뜻하는 이 요소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지니고 있다.

    5. 접촉(CONTACT, 接触) - 이 요소는 ‘연락’, ‘연락을 취하다’라는 뜻을 지닌다.

    6. 코드(CODE) - 부호, 기호의 뜻을 지니며, 언어에 쓰이는 기호를 말하기도 한다.

 

위의 6가지의 요소들 중에 어는 요소에 집중,

강조가 되는냐에 따라 언어의 기능이 아래의 6가지의 기능으로 분화된다고 생각한다.


  1. 6가지 요소에 따른 기능 분석

    1. 정보공유, 지시적 기능(referential function)- 대상, 맥락(CONTEXT)에 초점이...

    2. 감성적, 감화적 기능(emotive function) - 표현・표출적 기능이라고도 말한다...

    3. 명령적, 지시적 기능(conative function) - 욕구 표현 기능이라고도 말한다...

    4. 친교적 기능(phatic function) - 접촉(CONTACT, 接触)에 초점이 맞춰진 기능...

    5. 관어적 기능(metalingual function) - 코드(CODE)에 초점이 맞춰진 기능이다...

    6. 미학적 기능(poetic function) - 시적 표현의 기능이라고도 말한다. 메시지...

결론

 나는 지금 타국에 살면서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학생들에게 무료 교육을 하는 곳에서 한국어 회화를

알려주고 있다. 가벼운 마음으로 생각하여 시작한 봉사활동이 부족함을 느끼고 학업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자신에게 있어 다른 언어를 배울 때도 가장 힘들고 지치는 부분이 ‘내가 하고자하는 이야기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었다. 이번 수업과 과제를 통해 로만 야콥슨의 특징을 정리하면서 의사소통에

관한 요소와 그에 따른 기능을 자세히 알아보았다. 여기서 말하는 의사소통의 요소와 기능들은 부단

언어에 한정하지 않고, 그 밖의 상황과 개념들을 사용하여 전달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연구하여

전달하는 것이야 말로 언어를 전달하는 것이 될 것이다. 실제 적용이 되고 있는 사례들을 부과적으로

살펴보았다. 영화나 TV를 통하거나 책을 통하여 적용되기도 한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참고 문헌

  • 수업 교안 - ‘1주차 2차시 언어의 기능’ 8 page

  • 위키대백과사전 - ‘Роман Осипович Якобсон’ 검색

  • elcomblus.com - ‘Functions of Language by Roman Jakobson’ 검색

  • elcomblus.com - ‘The Poetic Function in the Theory of Roman Jakobson’ 검색

  • 우리말 샘 - ‘감화(感化)되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