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한국어교원2급)(PDF)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
- [작성시 유의사항]
- 1. 언어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의 차이점을 설명할 것
- 2. 한국어 교수요목의 종류와 특징을 정리할 것
- 2. 대학기관에서 발행한 한국어 어학 교재 한 권, 기능별 교재(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교재) 한 권, 그리고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중에서 한 권으로 총 세 권의 책을 대상으로 할 것
- 3. 대학기관에서 발행한 한국어 일반과정 교재와 기능별 교재(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교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교수요목의 특징을 표로 분류하여 비교할 것
- 4. 표에 작성할 항목은 대상 교재, 주요 교수요목, 교재의 특징 등
(클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과제 원본
(Answer)
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공부를 시작해 가장 힘들었던 부분이 용어에 대한 정의였다.
간단한 용어인 듯하여도 그 속을 들여다보면 단순한 뜻을 지닌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번 과제를 통하여 수업 시간을 통해 배운 언어의 교육과정과 교수 요목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보려고
한다.
본론
먼저 언어의 교육과정(敎育課程)은 무엇을 말할까. 영어로는 “Curriculum”이라고 말하는 이 단어는
언어를 학습하는 것에 있어서 시작부터 끝, 목표달성 지점까지를 지칭한다. 위키백과에서는 “일정한
교육의 목적에 맞추고, 교육 내용과 정해진 수업의 교육 및 학습을 종합적으로 계획한 것을 말한다.
보통 학생의 경우 초등학교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학년마다 학습 상황을 시간표로 정리해 두는데
이것도 교육과정 일부라고 할 수 있다.”리고 정의되어있다. 단순하게 정리하면 언어의 교육과정은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해 체계화된 학습목적, 방향, 평가까지의 과정 또는 단계별 계획”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교수 요목의 개념은 무엇일까.
수업 전에 생각하기로는 언어의 교육과정과 교수 요목은 비슷한 의미를 지녔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교안에서는 “언어가 교육목적에 알맞게 구조화된 체계”라고 정의 내리고 있다. 작은 의미로는 하나하나의
교수 요목들을 합하여 정리하면 교육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의 교육과정 속의 교수 요목이
정의 내려진 시기는 일제강점기가 끝나 해방이 되는 곳에서 시작하였다. 이 교수 요목과 언어의
교육과정의 차이점을 정의해 보자.
언어 교육과정과 교수 요목의 차이점
앞서 정의 내린 언어의 교육과정이란, 계획하고 또 그것을 시행, 활동하여 마지막으로 평가
또는 피드백의 과정을 언어의 교육과정이라고 말한다. 교수 요목은 무엇을 어떠한 과정으로
학생들의 학습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언어의 교육과정 안에
교수 요목이 속해 있는 것이다. 실제로 교수와 학생들의 학습할 수 있는 활동 목표들이 교수
요목인 셈이다. 그렇다면 한국어 교수 요목의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또 각 종류에 대한
특징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한국어 교수 요목의 종류와 특징
수업 시간에 습득한 교수 요목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문법 중심 교수 요목(Grammatical
Syllabus), 어휘 중심 교수 요목(Lexical Syllabus), 기능 중심 교수 요목(Functional Syllabus),
상황 중심 교수 요목(Situation Syllabus), 내용 중심 교수 요목(Content-Based Syllabus),
언어수행 능력 중심 교수 요목(Competency-Based Syllabus), 기술 중심 교수 요목(Skills
Syllabus), 과제 중심 교수 요목(Task-Based Syllabus), 통합 교수 요목(An Integrated
Syllabus)으로 나눠볼 수 있다. 각각의 특징은 어떻게 될까.
문법 중심 교수 요목(Grammatical Syllabus) 특징
이 교수 요목의 가장 큰 특징은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는 특징이 있다.
특정된 목표 언어에 대한 문법적인 구조 등을 통해 항목을 나누어 난이도를 측정한다.
이를 통한 언어습득이 완벽히 이루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어휘 중심 교수 요목(Lexical Syllabus) 특징
단어와 단어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어휘가 의미를 농축하고 있고 문법과 같은 성분은
그 농축된 의미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는 특징이 있다.
기능 중심 교수 요목(Functional Syllabus) 특징
특정 상황에서의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학습 행태로 한 명 이상의 의사소통,
상호작용으로 인해 학습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대하거나 잘못한 일을
사과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황 중심 교수 요목(Situation Syllabus) 특징
특정 상황에 노출된 학습자를 가정하거나 실제로 발생했던 상황들을 통한 교수 요목을
일컫는다.
내용 중심 교수 요목(Content-Based Syllabus) 특징
이 교수 요목은 특정한 언어를 사용하여 내용 또는 정보를 공유하고 전달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 요목은 특수 목적을 지닌 학습자에 대한 교육에 쓰인다.
언어수행 능력 중심 교수 요목(Competency-Based Syllabus) 특징
학생이 과정 수업에 도움이 될만한 기본 지식, 태도, 활동에 대한 역량이 수업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교수 요목이다.
기술 중심 교수 요목(Skills Syllabus) 특징
이 기술 중심 교수 요목은 발음, 어휘, 문법 등과 같은 언어의 기술이 기초가 되어
쓰인다는 교수 요목이다.
과제 중심 교수 요목(Task-Based Syllabus) 특징
특정한 작업기반의 목적으로 학습자가 작업 기반의 목적에 따르는 해결방법이나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 쓰이는 교수 요목이다.
통합 교수요목(An Integrated Syllabus) 특징
단어 그대로 교수가 여러 분야에 대해 공통의 학습방안을 마련하고 커리큘럼,
즉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것에 대한 교수 요목이다.
각 교수 요목에 대한 특징들을 정리해 보았다. 다음으로 대학기관에서 발행되고 실제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찾아보고, 어학 교재, 기능별 교재, 학문 목적 한국어교재로 분류해보자. 또 각각의 교재별로
사용되는 교수 요목의 특징을 표로 분류하여 비교해 보자.
대학기관에서 발행한 한국어 교재
한국어학 교재 - 대학기관에서 발행되고 있는 한국어학 교재는 전문성을 지니는 ...
기능별 교재(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교재) - 각 기능에 전문화된 교재이다. 이 기능별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 말그대로 한국어학을 포함한 대학, 대학원 진학이나 학위 취득...
아래에 표를 작성하여 한국어 교재의 교수 요목의 특징을 표로 분류하여 비교해 보자.
결론
이 과제를 통해 내가 “한국어를 배운다는 것”에 대해 다른 시각으로 생각해보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또 실제로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 학생들을
만난 이야기를 나누어 보는 흥미로운 경험을 통해서 ‘다양한 한국어 학습 동기’를 알게 되었습니다.
위 의견 이외에도 단순하게 학점 취득의 쉬워서 공부하는 학생들도 적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어에 대한
배움의 동기를 단순하게 정의하기는 어렵게 느끼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특이한 동기로는 ‘한국 화장품’에
대해 궁금해서 시작하거나 자신이 알고 있는 ‘일본의 역사’와 다른 ‘한국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시작한
학생들도 있었습니다.
이런 다양한 동기와 교육의 목적, 방향도 각양 각색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습의 목표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적절하게 이루어 지도록 여러방향으로 교재도 발전해야 할 것입니다. 개개인의 흥미를 살려
실제적인 교육으로 바꿔줄 수 있는 교재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참고 문헌
수업 교안 -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6 page
수업 교안 - ‘라. 대학기관 한국어교재 분석’ 88 page
위키대백과 - ‘Curriculum’ 검색
세종 누리학당 - 학습코너의 ‘교재’ 활용
서울대 한국어 1A Student's Book - 교재구성표 참고
Korean Speaking Easy for Foreigners Beginner 1- 교재구성표 참고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의 기초, 실제 - 교재구성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