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한국어교원2급)(PDF)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

(Question 1st) [주제 : 한국어의 자음의 특징] 
장애음과 비음,유음의 구성적 특징을 포함해서 한국어 자음의 구성과 조음적 특징에 대해 정리하세요. 마직막으로 다른 언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의 자음의 구성과 그 특징에 대해 정리하세요. 
 [유의 사항] 
  • 한국어 장애음의 구성과 그 특징을 정리할 것 
  • 한국어 유음과 비음의 구성과 그 특징을 정리할 것 
  • 영어의 자음체계의 구성과 특징을 정리할 것 
  • 일본어의 자음체계의 구성과 특징을 정리할 것 
  • 중국어의 자음체계의 구성과 특징을 정리할 것 ‌‌


(클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과제 원본



(Answer)


  • 서론

     시작하기에 앞서 장애음, 비음, 유음을 정리해 본다. 먼저, 장애음(Obstruent)에 대한 정의는 이러하다. 장애음 (Obstruent) 함은,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등과 같이 장애를 조음의 특징적 요소로 하는 음소를 뜻한다. 간단히 정리하면, 성대의 개폐로 공기의 흐름을 단절시키거나 방해하는 요소를 말한다. 성대를 통해 특정한 방해 없이 부드러운 공기 흐름을 통해 만들어지는 공명음(Sonorant)과 반하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는 비음(Nasal)을 알아보자. 위키백과에서는 비음에 대한 정의를 이렇게 내리고 있다. “비강음 또는 비음(문화어: 코안 소리)은 구강 안에서 폐쇄를 만들어 폐로부터 온 공기를 막았다가 연구개를 낮추어 공기 일부를 코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를 말한다. 조음 적인 측면에선 폐쇄음이기도 한 이중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유음(Liquid)은 무엇일까. 한국어에서 유음으로 분류되는 것은 ‘ㄹ’이다. 위키백과를 따르면, “조음할 때 공기의 흐름을 적게 막아서 내는 닿소리이다. ‘l’이나 ‘r’로 표기되는 닿소리를 가리킨다”라고 정의되어 있다.


    본론

     그렇다면 한국어의 장애음은 어떤 종류의 구성을 하고 있으며, 각각의 특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또 한국어의 비음과 유음의 종류로 나뉘며,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을까. 이를 바탕으로 다른 나라의 장애음과 비음, 유음을 알아보자.


    1. 한국어 장애음, 또 그 속의 비음과 유음의 구성과 그 특징

     ‘진자음(眞子音), 순수 자음(純粹 子音), 순자음(純子音), 참자음’이라고도 말하는 장애음은 영어로 ‘true consonant’에 대응하는 용어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음성학적으로 자음의 본질은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는 데 있으며, 이러한 속성을 강하게 지닌 장애음은 크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으로 나눌 수 있다.


    1. 파열음

      1. ㅂ/ㅃ/ㅍ, ㄷ/ㄸ/ㅌ, ㄱ/ㄲ/ㅋ

      2. 이 파열음은 들이마신 숨, 공기를 밖으로 내보낼 때 일단 한번 막았다가 막은 곳을 개방하면서 나는 소리를 말한다.

    2. 마찰음

      1. ㅅ/ㅆ, ㅎ

      2. 말 그대로 마찰에서 나오는 소리라고 생각한다. 소리가 나오는 부분이 좁혀지고 그 사이로 공기와 함께 나오며 그로 인한 마찰로 소리가 나온다.

    3. 파찰음

      1. ㅈ/ㅉ/ㅊ

      2. 파열음과 마찰음의 성격을 동시에 띠고 있는 것이 바로 파찰음이다.

    4. 비음

      1. ㄴ/ㅁ/ㅇ

      2. 비강 음이라고 하는 이 음소는 ‘코로 나는 소리’라고 할 수 있다. 입안의 기로를 막고 코로 공기를 보내면서 나는 소리를 뜻한다.


    1. 유음

      1. 공기가 흐르면서 나는 소리라고 생각한다. 혀끝을 잇몸에 살짝 대어 그 상태에서 공기를 흘려 내 보내면서 나는 소리이다.


     한국어의 장애음 구성과 그에 따른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에도 장애음이 어떤 식으로 존재할까. 다른 세 나라인 미국, 일본, 중국의 자음체계를 알아본다. 또 그 속의 장애음 구성과 특징을 살펴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자.


    1. 영어의 자음체계

     영어의 자음은 총 24개이며 성대의 울림을 통한 구분이 이루어진다. 한국어와는 크게 차이는 없으나 ‘순치음’이나 ‘접근음’ 같은 음소도 있다. 이처럼 조음의 위치는 크게 차이가 없지만 방법에서는 차이가 있다. 영어는 ‘유성-무성’으로 2원 대립이지만, 한국어는 2원 대립은 없지만 3원 대립으로 ‘평음 - 경음 - 격음’이 있다. 

     공통으로 입술소리, 잇몸소리가 있고 차이점으로는 영어에서 존재하는 유・무성의 대립은 없고 평음・경음・격음에 대한 대립이 있다는 것이다. 영어를 배울 때 유・무성의 발음을 신중하게 하듯이 한국어를 배울 때 또한 평음・경음・격음을 주의 깊게 듣고 발음을 할 필요가 있다.


    1. 일본어의 자음체계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법에는 다양한 부분에 있어 공통, 유사한 부분이 많다. 어순과 같은 부분이 말이다. 하지만 자음과 모음의 체계가 다르며, 한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발음과 촉음 같은 부분도 있다. 일본어는 영어와 같은 2원 대립체제이다.


    1. 중국어의 자음체계

     중국의 자음도 영어와 같이 24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조음의 위치도 중국에서 사용하는 조음의 위치에 있기에 발음에 대한 어려움이 거의 없다. 하지만 중국어의 자음에는 평음이 없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짠맛’은 발음이 잘 되어도, ‘장맛’은 발음하기 어렵다.


    결론

      한국어의 장애음, 비음과 유음을 다시 정리하여보고 각각의 특성들을 알아보았다. 또 다른 나라의 언어 체계의 특성을 한국어를 기준으로 비교해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수업 시간에 배운 것을 이번 과제를 통해 다시 한번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 - 장애음 검색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 - 비음 검색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 - 유음 검색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장애음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