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한국어교원2급)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 - 보고서
주제: 듣기 전 혹은 읽기 전 단계에서 사용하는 사전 질문이 학습자의 선험 지식의 활성화와 듣기와 읽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입력해 보시기 바랍니다.(400자 이내로 작성하시오.)
듣기 전 단계와 읽기 전 단계에서 '사전 질문'을 통해 학생의 선험 지식을 활성화 하는 것이 듣기와 읽기에 각각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본다.
- 듣기 전 단계에서 '사전질문'을 통해 선행 학습을 한 후, 듣는 것이 학생으로부터의 '선험 지식'을 끌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교사가 사전에 질문을 하여 청자인 학생들이 가지고 있었던 선험 지식, 배경지식, 개인적인 경험 등을 끌어낼 수 있다. 또한 그것을 토대로 듣기 과정의 난점을 최소화하며, 학습하는 학생들 스스로가 미리 생각하는 기능을 가지고 듣기를 전략적으로 행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읽기 전 단계에서 '사전질문'을 통해 선행 학습을 한 후, 읽기를 시작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수업시간에 배운 스키마 이론을 따르면 독해 능력의 차이는 읽는 기능의 차이가 아니라 사전의 배경지식, 선험 지식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학생들이 스스로 이미 알고 있는 배경 지식과 읽고 있는 글의 내용을 연관 지을 수 있는 능력이 바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보는 것이다.
정리해보면, 선험 지식을 사전에 잘 활용하지 않거나 잘못된 활용으로 내용을 이해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생길 것이다. 따라서 사전 질문을 적절히 활용하고 내용의 이해를 돕기위해 정확한 답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