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한국어교원2급)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 보고서



주제: 국어의 규범이 왜 필요한지 조사하고, 어떤 규범이 있는지 발표하시오.






한국어의 규범은 국가적 차원에서 국내에서 제정하고 지정한 규칙을 일컫는다.

가장 중점이 되는 것은 '표기법'이다. 맞춤법이라고 불리는 이 표기법은 발음과 외래어에 관한 규정을 말한다.

한국어의 규범을 좁은 의미로 보면 '표기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처럼 표기법은 한국어의 규범에 핵심이 된다.



이런 규범은 왜 필요한 것일까.

시대의 흐름이 빠른 요즘, 한국어 실사용 언어들도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편한 발음을 위해 단어의 자음이나 모음을 바꾸어 말하거나, 단순히 어떠한 표현을 위해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는 등의 변화를 말한다.

예를 들어 보자.



'열정 페이'



새로 만들어진 이 유행어로 취업이 힘들고 노동의 강제적인 착취로 인해 만들어진 이 단어의 의미는

"청년 구직자를 고용하면서 열정을 빌미로 임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 일."(우리말샘 등록된 의미)이라는 뜻이다.

실제로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없는 단어이지만, 신문 기사나 뉴스 등 방송 매체, 일상생활에서도 쓰는 단어가 되어 있다.



이런 단어들과 표현들이 늘어가는 속도가 빨리 지면서 한국어의 규범의 역할도 커진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단어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규범을 통해 명시를 함으로써  '를 지킬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기법'은 중요한 규범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