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한국어교원2급)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 - 보고서



주제: 한국어 쓰기 교육은 문어의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글쓰기를 할 때 문어의 특징을 고려한다면 그 특성도 등급화가 가능할 것입니다. 글쓰기를 전제로 문어의 특성을 적용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특성을 순서로 하는 등급화, 즉 중요성 순서를 정리해 보세요. (500자 이내로 작성하시오.)






글쓰기를 할 때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문어의 특성을 순서대로 나열해 보자.

  1. 문어의 특성 중 '영구성' -  문어의 영구성은 구어와 다르게 보존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발화하는 순간에 증발해 버리는 구어의 특성에 반하는 특성으로 문어의 특성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2. 문어의 특성 중 '정확성' - 말로 단순하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두고 작성한 글을 통해 전달하는 것이 문어의 특성이다. 구어와 다르게 정확도를 높혀 전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한 문장을 좀 더 설득력이 있는 단어와 표현들로 문장을 만들 수 있으며, 철차 즉 맞춤법 또한 정확하게 하여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문장의 특성 중 '독자와의 거리성' - 구어는 직접 대면을 통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비언어적 요소도 적절하게 포함되어 상황과 상대방의 이해수준을 반영하여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문어는 직접 독자를 만나 이야기 하는 것이 불가능하기게 자연스럽게 독자와의 '거리'가 생긴다. 이 '거리'를 고려하여 전달하여야 하기에 좀 더 신중하고 표현에 정확성을 높혀야 한다. 하지만 이것이 부단 단점으로 적용되지는 않는다. 이 독자와의 '거리' 는 시간과 공간을 포함하는 이야기이다. 같은 공간에 있지 않아도 같은 시간에 함께 하지 않아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글을 작성할 때 중요하게 적용되는 문어의 특성을 '영구성', '정확성', '독자와의 거리성'을 꼽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