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이 블로그 검색
WIZARD GO TO CANMORE
It was a noisy farce. Tokyo Couple preparing to leave for Canmore.
Menu bar
Home
내 인생 최고의 순간을 만들어 준 것 모든것에 대한 리뷰❤
2022년을 목표로❤
flea market :)
❤내 블로그 지도❤
더보기…
공유
공유 링크 만들기
Facebook
X
Pinterest
이메일
기타 앱
태그
과제
보고서
언어학개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능력평가론
외국인을위한한국문화교육론
한국문학개론
한국어교원2급
현대한국사회
1월 17, 2022
(보고서)(한국어교원2급)(PDF) 언어학개론
언어학개론
통사론과 관련하여 직접성분에 대해 서술해보고, 각 성분의 전체 구성에 대한 관계를 두가지로 나누어 설명해 보세요.(500자 이내로 작성)
<통사론의 직접성분>
둘 이상의 결합한 단어 또는 두, 절이 될 때 해당 구성을 직접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요소
주어부와 서술부로 나뉨
.
<예시>
철수는 달리기 선수다.
<주어부>
예시 문장에서 주어부는 "철수는"에 해당한다.
주어부는 중심의 역할이 된다.
<서술부>
예시 문장에서 서술부는 "달리기 선수다."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계층구조를 띈다.
<각 성분의 전체 구성에 대한 관계 1 - 동중심적 구성>
각각의 구성된 요소들이 통사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이다.
위의 예로 추가 설명을 하면, "철수는 달리기 선수다."라는 문장에서 "키가 작은 철수는 달리기 선수다."라고 바꾸면, "키가 작은 철수"와 "철수"는 동중심적 구성을 하게 된다.
<각 성분의 전체 구성에 대한 관계 2 - 이중심적 구성>
각각의 구성된 요소들이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구성이다.
위의 예의 부분에 "달리기 선수"라는 요소를 보면 "달리기"와 "선수"는 다른 요소로 이중심적 구성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