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어로서의한국어능력평가론
한국어능력시험 시행의 영향에 대해 서술하고, 외국인과 재외동포의 국내 대학 입학 사정 기준에서 한국어능력시험이 어떻게 활용·기대되는지 설명해 보세요.(500자 내외로 작성)
<한국어능력시험 시행의 영향에 대해>
-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재외동포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사용 능력을 인정받은 시험이다. 영어로는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이며, 1997년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시행되고 있다. 한국어능력시험의 한국어 능력 향상에 대해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말할 수 있다.
<외국인과 재외동포의 국내 대학 입학 사정 기준에서 한국어능력시험의 활용>
- 한국어의 보급을 확대하고, 사용능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활용해 취업, 학업 등 많은 곳에서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육기관들에서도 이 기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개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외국인 대학입학 기준에 언어능력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이는 학습자들에게도 배움에 방향을 제시해 주는 역할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취업 또한 마찬가지로 활용할 수 있다. 입사면접에 기본적인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기준이 될 수 있다.
- 국외 대학의 한국어 학과나 한국문화교육 등에 대한 졸업 기준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 국가 차원의 활용도 있을 수 있다. 한국의 영주권취득이나 비자 조건의 공식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외국인과 재외동포의 국내 대학 입학 사정 기준에서 한국어능력시험의 미래>
- 위의 한국어능력시험을 활용하는 부분들이 합쳐서 교육과정이나 시험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표준화할 수 있으며, 한국어를 습득하는 데에서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것에 한국어 능력시험에 대한 미래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전 세계의 언어로서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이 부분을 생각하면 좀 더 표준화된 평가를 하여 실생활이나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