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개론
개화기 가사, 창가, 신체시 각각의 특징에 대해 적어보시기 바랍니다.(500자 내외로 작성)
<개화기 가사>
- 형식: 주로 4.4조의 한국 전통시가의 율조를 지녔다. 2행의 대구에다 후렴을 붙이는 형식.
- 길이가 많이 짧아진 것이 특징이다.
- 강력한 사회 비판의식을 지니고 있으며 시대적인 배경, 환경에 대한 어려움을 널리 알리고자 하였음.
- 개화가사가 가장 많이 등장한 매체는 '대한매일신보' 의 「사회등란」이었다.
<개화기 창가>
- 형식: 3.4조, 4.4조에서 벗어나서 6.5조, 7.5조, 8.5조 등 다양한 율조를 지녔다.
- 학교와 같은 곳에서 청년학도들의 교과목으로 창가를 배우게 되면서 발달하였다.
- 형식을 벗어나진 못했지만 변화가 있었고 자유와 다양성을 보여주면서 발달하였다.
- 일본 창가로 인해 계몽적인 성격을 상실해 버리고 일본의 정서를 담거나 통속적인 감상만 남게 되었다.
<개화기 신체시>
- 형식: 7.5조의 형태, 이전처럼전체적으로 일률적인 음조로 된 것이 아니다.
- 새로운 새대를 노래하고, 계몽주의적이다.
- 개화에 대한 갈망과 독립에 대한 욕구 추가로 남녀평등, 새로운 교육에 대한 사상을 표현한다.
- 예를 들어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말할 수 있다.